건강

밥 먹고 바로 자거나 눕고 싶죠??

CPE 2022. 4. 23. 20:50
728x90

이런 얘기들 정말 많이 하죠.

 

아니, 밥 먹고 자도 소화되는데 눕거나 자거나 상관없는 거 아니야?

 

 

네, 상관있고요. 정말 좋지 않습니다! 왜 그런가.. 정말 쉽게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.

 


 

 

우리 몸에서 숨 쉬는 것만큼 중요하다고 할 수있는 소화입니다. 소화는 중력 방향에 의해서 위에서 아래로 되고, 그래야 대장 소장으로 가서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. 그렇죠? 

 

 

 

위산의 역류

 

위산 역류

 

 

우리가 만약에 밥을 먹거나 야식을 먹고 눕거나 자게 되는 경우 위산은 역류할 수 있습니다. 위산은 우리가 제어할 수 물질이 아닙니다. 마치 위산은 컵 속에 물처럼 출렁일 수 있어요.

 

이 위산의 역류가 어떤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냐면

 

  • 역류성 식도염

역류성 식도염은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가슴에 고통스러운 쓰림을 지속적으로 줄 수 있어요. 정말 짜증나게도 계속 기침을 하게 되기도 하죠. 또 목에 뭔가 모를 이물감까지 줄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수면 방해로 다음 활동 저하

이렇게 소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몸에서 숙면과 함께 소화에 신경을 쓰다 보면 숙면을 제대로 할 수 없게되고 이는 집중력 저하와 같은 좋지 못한 것들을 유발하여 여러분의 다음 활동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역류성 식도염, 수면방해 등 위산 역류로 인한 것들은 만약 다음 날 시험이라도 있다면 집중력이 안되서 시험에서 망칠 수 있고, 운동을 한다면 컨디션 저하와 방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밥 먹고 나서 눕거나 자면 좋지 않은 이유를 아실 것 같나요? 저는 우리 글을 읽는 분들은 먹고 나서 바로 눕거나 자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. 건강을 위해서, 모든 것을 위해서라도 그렇게 하기로 해요.

 

 

우리도 평소에 책을 앉아서 읽다가 눕혀놓고 읽으면 읽기 어렵겠죠?? 우리 몸 입장도 생각해주자고요!!

 


 

 

그리고 궁금할만 한 있을 것 같아서 질문을 따로 준비해봤습니다.

 

Q. 그럼, 물구나무 서거나 몸을 숙였을 때는 왜 위산이 입 밖으로 안 나와요?

 

A. 우리 몸에는 식도 괄약근이라는 게 존재하고 있어서 위산이 역류하지 못하게 막고 있어요!

 

 

어떤가요? 읽는 사람 입장에서 정말 궁금할 것 같아서 준비했습니다. 가끔! 궁금해할 질문도 생각해서 글에도 녹여볼게요 ㅎㅎ 오늘도 좋은 정보였으면 좋겠습니다.

 

 

감사합니다 안녕~~~~~~

 

728x90